티스토리 뷰

반응형

포토샵 작업을 하고 나서 웹에 올리거나 검수용으로 전달하고자 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맷이 jpg입니다.(jpg는 기본적으로 손실 압축입니다)

간혹 남이 작업한 파일을 보면 용량이 다르거나 아주 심하게 차이나는 경우를 겪기도 하는데요. 그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1. 압축률이 달라서 파일 용량이 다른 경우 



위의 이미지를 jpg로 저장해 보겠습니다.


파일메뉴에서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가기를 선택합니다. [File/Save As]



적당한 파일명을 입력하고 저장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옵션창이 생깁니다.



원하는 압축 품질을 조정핸들을 이용하여 조절한 후 저장합니다.


각각의 압축률에 따른 이미지의 품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각파일의 용량은 222KB / 59KB / 31KB 입니다. 압축이 강해질 수록 용량이 줄어드는 폭이 약해지고 이미지 손실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압축은 적당히 해야 품질도 유지되고 파일용량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메타정보로 인해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경우


위 원본 사진으로 다양한 포토샵 작업들을 하다가 jpg로 저장하게 되면 똑같은 압축률에도 불구하고 용량이 커지게 됩니다. 



파일용량이 24.8MB로 100배 이상으로 커진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양한 포토샵 작업으로 인해서 메타속성이 많아져서 그런데요. 다양한 레이어 작업과 스마트 오브젝트 생성등이 그 원인일 수 있습니다. 


그럼 이것을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요? 있습니다.^^

바로 웹포맷으로 저장하는 건데요.


파일메뉴에서 웹으로 저장하기를 선택합니다. [File>Export>Save for Web(legacy)]



우상단에 있는 파일 포맷을 JPEG로 선택하고 Quality를 조절한 후 저장하면 메타속성 없는 저용량의 이미지로 저장 할 수 있습니다.


* jpg로 저장할땐 습관적으로 '웹포맷으로 저장'하도록 단축키 (Ctrl+Alt+Shift+s)를 익혀두시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