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스마트블러와 비슷한 효과를 내는 블러 필터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서피스블러입니다.

아래 두 메뉴의 설정창을 보시면 설정 항목이 Radius와 Threshold로 같습니다. 다른 점은 스마트 블러의 Threshold는 100까지 조절 가능하며 서피스블러는 256까지 조정 가능합니다.  


   


먼서 스마트 블러를 적용해서 비교해 보았는데요. 첫번째 이미지는 원본이고 두번째 이미지는 Radius, Threshold를 15로 동일하게 적용한 이미지이고 마지막 이미지는 5로 동일하게 적용한 이미지입니다. 원본에 비해서 가운데이미지가 부드러워진 반면에 그라데이션을 따라 아래쪽으로 계단현상이 생긴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번째 이미지는 수치를 5로 세밀하게 적용한 결과 계단현상이 더 촘촘하게 생긴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치 물결같은 착시현상을 주기도 합니다. 



< 확대이미지 >



이번은 서피스 블러를 적용 비교해 보았습니다. 스마트 블러때와 마찬가지로 원본이미지와 Radius, Threshold를 15로 동일적용한 중간이미지 그리고, 5로 동일적용한 세번째 이미지입니다. 가운데 이미지는 계단현상이 없긴 하지만 물에비친 산 능선이 경계가 명확해지고 중앙 그물의 아래쪽이 흐릿해 져서 경계선이 사라진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수치가 작아져서 더 디테일이 살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확대이미지 >



이제 스마트필터와 서피스필터에 동일하게 적용해서 비교해 보앗습니다.(Radius=2, Threshold=10)

아래 왼쪽 바다이미지를 보시면 스마트필터는 어느정도의 단계구분으로 약간의 물결무늬인 듯(?)한 느낌이 들고 오른쪽 바다는 마치 거울처럼 매끄러운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아래 오른쪽 배 이미지의 하단에 보시면 명도나 색상차이가 적은 경계선 부분에서 스마트필터는 명확한 반면 서피스필터는 흐릿하다는것을 알 수 있스니다. 



< 확대이미지 >



마지막으로 Radius Threshold 둘 다 최대치로 올리고 비교한 이미지입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렸던 것처럼, 스마트 필터는 경계선 부분의 명확성을 유지,강조하면서 흐림효과를 주는 반면 서피스 필터는 부드러움을 강조하면서 명확성을 유지하도록 적용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형태나 색상이 복잡한 구조적 이미지에는 스마트필터를 적용하는것이 낫고 얼굴 피부나 매끈한 표면, 광택재질 등에 적용시에는 이름처럼 서피스 필터를 적용하는것이 더 효과적인것 같습니다. 


이상 헷갈리는 필터의 난해한 비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